728x90
반응형
3D프린터란?
3D 프린터는 3차원 객체를 만들기 위한 컴퓨터 제어의 자동화된 기계로, 다양한 원리와 기술을 사용하여 동작합니다. 가장 일반적인 3D 프린터의 원리는 적층 제조 (Additive Manufacturing) 원리로 알려져 있습니다. 이 원리는 객체를 하나의 층씩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동작하며, 다양한 소재와 프린팅 기술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.
일반적인 3D 프린터의 작동 원리
- 3D 모델 생성: 먼저, 3D 모델을 컴퓨터-어웨어 (Computer-Aided Design, CAD)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생성합니다. 이 3D 모델은 프린팅하고자 하는 객체의 디지털 디자인을 포함합니다.
- 슬라이싱: 3D 모델은 슬라이싱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가로로 된 단면(슬라이스)으로 나누어집니다. 이 단면들은 각각의 층을 형성하게 됩니다.
- 프린팅 준비: 3D 프린터는 프린트되는 소재를 녹이거나 경화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와 소재를 준비합니다. 소재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, 일반적으로 필라멘트(선 모양의 소재)나 파우더(가루 모양의 소재)의 형태로 사용됩니다.
- 레이어링: 3D 프린터는 각각의 층을 순차적으로 만들어갑니다. 필라멘트나 파우더를 사용하여 층을 형성하며, 이를 녹이거나 경화시켜 이전 층 위에 쌓아올립니다. 이렇게 여러 층을 쌓아올림으로써 3차원 객체가 생성됩니다.
- 후처리: 3D 프린팅이 완료되면, 객체를 후처리할 수 있습니다. 필요에 따라 부분을 연마하거나 다양한 후가공 작업을 수행하여 최종적인 완성품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.
3D프린터의 종류
3D 프린터는 다양한 종류의 기술과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D 프린터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
- Fused Filament Fabrication (FFF) 또는 Fused Deposition Modeling (FDM):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D 프린팅 기술로, 필라멘트(선 모양의 소재)를 열화하여 층층이 쌓아서 3D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. PLA, ABS, PETG 등의 필라멘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FFF 또는 FDM 기술은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의 객체를 제작하는 데 많이 사용됩니다.
- Stereolithography (SLA): 광경화성 수지(액체 모양의 소재)를 사용하여 정교한 디테일과 고해상도의 객체를 제작하는 방식입니다. 레이저 또는 UV 광선에 의해 수지를 경화시켜 3D 객체를 형성합니다. SLA 기술은 정교한 모델링이 필요한 고정밀 프린팅에 적합합니다.
- Selective Laser Sintering (SLS): 가루 모양의 소재를 사용하여 레이저를 통해 가루를 열화하여 층층이 쌓아 3D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. 주로 금속이나 열에 강한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객체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.
- Digital Light Processing (DLP):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프로젝터나 빛을 통해 수지를 경화시켜 3D 객체를 형성하는 방식입니다. SLA와 유사하지만 레이저 대신 디지털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더 빠르게 프린팅이 가능합니다.
- Multi Jet Fusion (MJF): 분말 모양의 소재를 사용하여 인쇄 헤드에서 재료를 스프레이하여 레이어 단위로 객체를 형성하는 방식입니다. 빠르고 정확한 프린팅이 가능하며, 고객 제작 제품에 많이 사용됩니다.
- Ceramic 3D Printing: 세라믹 소재를 사용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, 세라믹 제품이나 예술품 등의 제작에 사용됩니다.
3D프린터의 재료
3D 프린터는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사용하여 3차원 객체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.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며, 각 재료는 특정한 프린팅 기술과 프린팅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D 프린터 재료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
- 필라멘트(선 모양의 소재)
- PLA (Polylactic Acid):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D 프린터 재료로서 생분해성이며, 저렴하고 다양한 색상과 투명도를 가지고 있습니다. 비교적 낮은 열 접착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3D 프린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ABS (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): 강성이 높고 내구성이 좋은 소재로서, 유연성이 낮고 열 접착성이 높아 기능적인 부품이나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제품에 적합합니다.
- PETG (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): PLA와 ABS의 장점을 결합한 소재로서, 내구성이 뛰어나고 열 접착성이 높아 기능성 부품이나 실용적인 제품에 사용됩니다. - 수지 (액체 모양의 소재)
- 광경화성 수지 (Photopolymer Resin): 광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로서 정밀한 디테일과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재료로, 고해상도와 고정밀 프린팅에 적합합니다. 주로 스테레오 리소그래피 (Stereolithography, SLA)나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 (Digital Light Processing, DLP) 기술에서 사용됩니다. - 파우더 (가루 모양의 소재)
- 금속 파우더 (Metal Powder): 다양한 금속 소재로 제작된 파우더로, 금속 3D 프린터에서 사용되어 강성이 높고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부품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. 주로 선택적 레이저 소결 (Selective Laser Melting, SLM)이나 전자 빔 멜팅 (Electron Beam Melting, EBM) 등의 금속 3D 프린팅 기술에서 사용됩니다. - 기타 재료
- 나무, 세라믹, 유리, 고무 등
728x90
반응형
'IT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실을 넘어선 기술의 꽃, 인공지능 (0) | 2023.04.10 |
---|---|
홈 IOT 서비스 란 무엇인가? [적용분야/장점/단점/미래] (1) | 2023.04.09 |
빔프로젝터 구매 가이드 [루멘? 안시?] (0) | 2023.04.09 |
3D프린터 구매하는 방법 구매방법 체크사항 (0) | 2023.04.09 |
3D프린터의 미래는 어떨까? (0) | 2023.04.09 |
댓글